지속가능한 일당백의 힘은 ‘싱크’에서 : 딜라이트룸 안새미 P&C 리드

‘당신의 하루를 바꾸는 기적, 아침 6분이면 충분하다’는 부제로 화제가 된 ‘미라클 모닝’, 이제 성장과 변화를 주는 일상에 빼놓을 수 없는 리추얼이 되었는데요. 이런 즐거운 변화를 더 쉽게 이끌어주는 글로벌 No.1 서비스가 국내에 있다고? 그럼요. 매일, 전 세계 사람들의 아침을 깨우는 알람 앱 ‘알라미’를 운영하는 딜라이트룸을 소개합니다. 20명의 일당백 팀으로 투자 없이 연매출 130억을 달성한 비결에 어떤 HR과 문화가 있는지, 안새미 P&C 리드님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딜라이트룸은 어떤 회사?

‘모두에게 성공적인 아침을 선사하자’라는 비전 아래 개발한 알람 앱, ‘알라미’를 통해 전세계 다양한 사용자의 아침을 성공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전체 사용자의 85%가 해외 사용자로 누적 다운로드 6,000만, 98개국 앱스토어 카테고리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2021년 매출 130억, 영업 이익율은 65%를 기록하며 내실 있게 성장하는 중입니다. 알람 기능 뿐 아니라 수면, 습관 형성, 모닝 코치 등으로 영역을 넓혀 ‘모닝웰니스’ 앱으로 성공적인 아침의 가치를 재정의하는 것이 딜라이트룸의 목표입니다.

💡 가치관 : 20명이 200명처럼, 일당백이 가능한 이유

안녕하세요. 리드님! 알라미는 저도 매일 아침마다 만나는 서비스인데요.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안새미: 안녕하세요. 딜라이트룸에서 피플&컬처팀을 맡고 있는 안새미입니다. 알라미 유저셨군요.(웃음) 저는 딜라이트룸에서 사람과 제도,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모든 것에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일을 하고 있어요. 일반적인 인사팀(HR)보다 넓은 영역, 예를 들면 HR 제도와 조직 문화 측면으로 더 넓고 깊게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의 중인 안새미 P&C 리드(오른쪽), 한 분이 더 오시면서 3명의 피플팀이 되었다.

알람 앱 카테고리로 글로벌 1등인데 구성원이 20명이라는 사실에 놀랐어요.

안새미: 생각보다 조직 규모가 작죠? 딜라이트룸은 구성원 한 명 한 명이 팀에 끼치는 영향력이 매우 큰 회사를 추구하고 있어요.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에 인수될 당시에는 구성원이 12명, 왓츠앱은 44명이었는데 딜라이트룸도 그런 일당백 DNA를 닮고자 노력하면서 지금의 구성원들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 모두 딜라이트룸의 문화에 공감하면서도 탁월한 역량을 발휘해주고 계세요.

회사 노션과 컬처덱을 보면서 ‘강력한 문화 덕분에 일당백의 팀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딜라이트룸을 원팀으로 묶는 가치관은 무엇인가요?

안새미: 딜라이트룸의 미션과 비전, 코어 밸류를 말씀 드리기 전에 이런 가치관을 셋업하게 된 가설부터 말씀 드릴게요. 딜라이트룸은 ‘아침이 무너지면 하루가 무너진다, 성공적인 아침이 쌓여서 삶을 바꾼다’는 가설을 가슴 속에 품고 있어요. 우리 팀을 움직이는 동력과도 같은 거죠. 이 가설로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가치관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먼저, 미션은 ‘Wake people up, fully and completely’(완전히, 그리고 확실하게 깨우자)예요. 미션은 ‘우리가 해야할 일’, 즉 사명을 담고 있습니다. 깨우는 것이 알라미의 본질이니까요. 그 다음 비전은 ‘Make people’s morning successful’(모두에게 성공적인 아침을 만들어주자)입니다. 성공적인 아침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딜라이트룸이 가야 할 방향을 한 줄로 정의한 거라고 생각해요.

20여명이지만 일당백으로 똘똘 뭉친 딜라이트룸의 구성원들

가설과 가치관의 연결 고리가 인상 깊네요. 일하는 방식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안새미: 일하는 방식을 3가지로 정의한 딜라이트룸 DNA를 말씀 드릴게요. 첫 번째는 User-centric(사용자 중심)이에요. 실제로 일하면서 가장 자주 쓰이는 단어가 ‘사용자’죠. 그렇기 때문에 모든 의사결정을 사용자 중심으로 논의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구성원 모두 사용자 입장의 POV(Point of View)를 늘 유지해야 해요. 매주 각 리드들이 VOC 원문을 보며 고객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미팅, 그리고 고객 리텐션 추이를 정량적/정성적 피드백으로 확인하는 리듬을 통해 강력한 POV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두 번째는 Product-oriented(제품 중심)입니다. 마케팅 성과나 광고 효율 높이기, 투자, 수익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목표가 있지만 가장 최우선 목표는 ‘최상의 제품’을 만드는 것이에요. 그래야 알라미 서비스가 사람들의 일상에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니까요. 그 지름길이 제품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Data-driven(데이터 중심)이에요. 감으로 제품을 개선하는 것이 아닌, 실험을 분석하고 무엇을 어떻게 개선할 지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까지 가야 해요.

제품, 데이터, 사용자는 딜라이트룸의 일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3가지 DNA다.

📜일당백을 지속 가능하게, 컬처덱 탄생기

팀의 가치관도 훌륭한데 컬처덱까지 만드셨어요. 스타트업에서 조직문화에 이렇게 투자하기 쉽지 않은데, 어떤 배경으로 진행되었나요?

안새미: 작년 4분기 피플&컬쳐팀의 OKR에 내부 브랜딩 향상을 목표로 한 오브젝티브에 연결된 액션플랜으로 컬쳐덱 제작 아젠다가 나왔습니다. 시작하게 된 계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첫 번째는 명료한 내부 브랜딩. 위에서 말씀드린 가치관과 일하는 방식, 다양한 HR 제도들이 있는데 느낌적인 느낌으로 존재할 뿐, 뚜렷한 방향으로 엮이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보다 효과적으로 딜라이터(딜라이트룸의 구성원)들이 한 방향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우리의 정체성과 성공 방식을 싱크하고 달려나갈 목표에 대한 이정표가 필요했어요.

그 다음으로는 유연한 조직문화를 위한 가이드의 니즈가 있었어요. 딜라이트룸은 어떤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도 잦아요. 이럴 때 서로가 함께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는 필수라고 판단했습니다.

딜라이트룸의 조직문화를 한 권에 담은 컬처덱

보통 컬처덱 하면 내부용으로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온라인 버전을 공개하셨더라고요.

안새미: 컬처덱 프로젝트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면서 컬처덱이 외부 브랜딩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직도 딜라이트룸과 알라미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우리 팀과 서비스의 자부심을 효과적으로 알리는 수단으로 컬처덱이 맞겠다고 본 거죠. 뿐만 아니라 예비 딜라이터 분들에게도 양질의 정보를 제공해 핏이 맞는 분들을 채용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그래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책) 2가지로 진행하셨군요. 프로젝트 진행은 얼마나 걸리셨어요?

안새미: 총 2개월 가량 걸린 것 같아요. 먼저 팀의 조직문화와 가치관에 대한 정의, 방향성을 다시 점검하면서 내부 자료들을 정리했습니다. 그 다음 딜라이터들과 미니 컬처 워크샵을 하면서 방향성에 대한 싱크를 진행했어요. 이렇게 내부의 정리가 끝나고 본격적인 제작에 들어갔죠.

제작을 함께 할 파트너사를 찾은 다음, 페이지네이션 작업과 컨셉, 디자인 방향성을 함께 세팅했어요. 이 시간이 생각보다 어렵고 지난한 과정입니다… 들어갈 내용을 쓰고 또 쓰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무한 반복(?)이 펼쳐져요.(웃음) 그렇게 온라인 버전을 마무리하고 오프라인 책자 출판으로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내부 시사회를 거치고, 최종적으로 외부에 공개했어요.

👉 자세한 컬처덱 제작기가 궁금하다면?

짧게 요약해주셨지만, 어마어마한 과정이 느껴지는데요. 컬처덱을 오픈하고 성과는 어땠나요?

안새미: 내부적으로는 딜라이터들의 자부심과 로열티가 높아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 외부 공개 이후에는 전체적인 지원자 수가 증가하면서 긍정적인 평판이 퍼지는 것이 너무 뿌듯했습니다. 이전과 비교했을 때 지원자 분들의 수준도 더 높아졌고요. 무엇보다 신규 입사자 분들의 강력한 동기부여를 일으키고 있어서 온보딩에 잘 활용하고 있어요. 전반적인 온보딩 만족도가 높아져서 근속 등 다양한 HR 지표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내부와 외부(채용) 브랜딩에 모두 긍정적인 성과를 낸 컬처덱 프로젝트.

📈모든 구성원이 데이터 분석가가 됐다

구성원의 성장을 돕는 일하는 방식이나 제도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안새미: 일하는 방식을 정의한 딜라이트룸 DNA 중, Data-driven(데이터 중심)으로 사고하고 일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로 우따스(Weekly Data Analysis & Seminar)가 있어요. 제품 중심으로 성장하는 딜라이트룸에게 있어 데이터 기반으로 사고하고 일하는 게 굉장히 중요한데 이런 방식이 낯선 구성원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매주 타운홀 미팅 때 데이터를 보며 서로의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분석하면서 배우는 시간을 가집니다.

데이터와 친숙하지 않은 구성원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되나요?

안새미: 먼저 주제를 결정한 다음, 가설이나 데이터에 대해 궁금한 점을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그 다음에 데이터 분석 툴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와 배운 점을 기록하죠. 해당 내용은 우따스(WDAS) 레슨 보드에 정리하고 모든 구성원과 공유합니다. 꼭 좋은 성과만 우따스를 진행하는 건 아니에요. 실수나 실패담도 훌륭한 배움이 있는 경험이기에 차별없이 나누고 소중한 인사이트로 정리해둡니다.

시도와 실패, 성공까지 모두 담은 레슨 보드는 팀과 구성원의 자산이 된다.

이렇게 구성원이 생각하는 방식과 일의 방향을 잡아나갈 수 있다는 게 놀랍네요. 이 제도는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

안새미: 팀이 더 일을 잘하면서 동시에 성장하기 위해 포스트모템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어요. 포스트 (Post)는 ‘후에’ 라는 뜻이고 모르템(Mortem) 은 ‘죽음’ 이란 뜻이거든요. 왜 우리의 시도가 실패했는지 면밀히 부검해보자는 것이죠. 실패와 실수에 대한 공유를 누구나 편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리적인 부담감과 허들을 낮추고, 그 과정을 통한 레슨에 집중하기를 바랬어요. 처음에는 데이터 관련된 분야로 좁은 범위였다가 점차 모든 분야로 확장되었습니다. 그래서 네이밍도 본래는 우따 Weekly Data Analysis 에서 우따스 Weekly Data Analysis & Seminar로 변경 되었습니다.

우따스를 운영하면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구성원들의 반응도 궁금하네요.

안새미: 처음에는 이게 가능할까? 반신반의 했어요. 시키니까 억지로 하지 않을까? 형식적으로만 하지 않을까? 그런데 딜라이터들의 반응이 반전이었어요. 대부분 ‘우아~ 너무 재밌다!’ 이거나 ‘나도 적용해볼래’, ‘그건 이렇게 하면 어때요?’ 의 흐름으로 흥미를 갖고 참여하기 시작했죠.

또 본인의 업무만이 아닌, 다른 동료로부터 자극을 받고 함께 성장하는 것을 즐거워 한다는 점을 알게 됐어요. 결과적으로는 매 주 평균 2~3명 이상 본인의 업무 성과는 물론 시도나 실험, 실패담 등을 스스럼없이 공유하면서 피드백도 받고 값진 레슨도 공유하는 시간으로 자리 잡았답니다. ‘당나패’라는 고유명사도 생길 정도였어요. ‘당신을 위한 나의 실패’라는 뜻이죠.(웃음)

일하는 방식을 담은 조직 DNA가 팀 성장에 진짜 영향을 끼치는 사례가 됐네요.

안새미: 맞아요. 개개인의 업무에 데이터 드리븐을 녹이게 됐죠. 그보다 더 뿌듯한 점은 서로 협업할 때 데이터라는 공통의 언어가 탄탄해졌다는 거예요. 데이터로 커뮤니케이션하고, 협업의 방향을 싱크할 수 있어 더 쉽고 효율적인 협업이 이뤄지는 것을 구성원이 체감하고 있습니다.

진지하면서도 유쾌한 배움의 시간, 우따스

⚡팀의 싱크에 flex를 얹다

flex를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 어떤 계기로 도입을 검토하셨는지도 궁금해요.

안새미: 작년 7월부터 시행되는 50인 미만 사업장의 주 52시간 근무제 준비를 위해 HR 솔루션을 찾던 중이었어요. 더불어 무제한 연차를 시행하고 있지만, 노무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었죠. 그러다 주변에서 flex 추천을 받았어요. 마침 플렉스팀에서 소개 메일을 보내주셨는데 제품의 구성과 취지가 저희가 찾던 HR 서비스와 가장 잘 맞아서 도입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flex 사용을 결정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새미: 다른 서비스들은 저희가 필요 없는 기능들도 포함된 경우가 많았는데 flex는 저희가 딱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있었어요. 서비스의 UI/UX도 직관적이고 깔끔해서 마음에 들었는데, 무료체험 후 이런 부분들이 다 확인되어 고민 없이 결정했던 거 같아요. 또한 슬랙 메신저나 구글 캘린더 등 저희가 쓰고 있는 업무용 툴과 쉽게 연동이 가능한 점도 좋았어요.

flex에서는 담당자 및 구성원이 할 일을 직관적인 TO DO 형태로 볼 수 있다.

flex를 도입하고 팀의 성장이나 업무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안새미: 먼저 도입 계기였던 주 52시간 근무제를 잘 준비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만족스러웠어요. 근태 관리 측면에서 업무 스케줄이나 연차 관리도 너무 쉬웠고, 현황을 리포트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습니다.

그밖에 2가지 기능이 정말 HR 업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데 바로 계약서 커스텀인정/피드백 기능이에요. 저희 회사만의 계약서를 법과 서식에 맞게 제작할 수 있고 전자 계약까지 마무리할 수 있어 정말 큰 도움을 받았답니다. 인정과 피드백 기능은 딜라이트룸이 중요하게 여기는 싱크를 더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스터가 됐어요. 또 그 때 그 때 변경되는 노무 정보와 근로기준법을 제품에 빠르게 업데이트해줘 노무적인 빈틈도 사라졌습니다.

flex에서는 근태 및 연차 현황을 쉽게 파악해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도와준다.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능도 전자 계약과 인정/피드백이겠군요. 어떻게 쓰고 계신지 궁금해요.

안새미: 전자 계약 기능은 플레이스 홀더(계약서에 들어가는 인사 정보 항목)를 잘 활용하면 더 효율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해서 계약서를 만들 수 있어요. 기존에는 양식 자체를 새로 만들어야 했는데 그럴 필요가 없어졌죠. 인정과 피드백은 정기 피어 리뷰를 할 때 아주 잘 쓴 기능이에요. 이전보다 전체적인 피어 리뷰 운영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아무래도 바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어 더 활발하게 사용한 것 같아요. 또 텍스트로 차마 표현 못한 비언어적인 메시지까지 이모지 등의 디자인 요소를 활용할 수 있어 더 양질의 리뷰가 된 것 같습니다.

피어 리뷰 운영에 피드백 기능을 잘 활용한 딜라이트룸

마지막으로 다른 회사에 flex를 추천해주신다면?

안새미: HR 업무에 꼭 필요한 필수 기능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좋아요. 특히 변화가 빠른 팀이나 조직에게 잘 맞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근태 및 연차 등 인사 현황에 대한 통합적인 리포트를 볼 수 있어 팀의 상태를 체크하고 HR 기획을 하기 좋은 점을 꼽고 싶어요. 심플하고 직관적인 UI/UX와 외부 툴과 연동되어 회사 업무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도 추천하는 부분입니다.


성공적인 아침을 만들고, 더 많은 사람의 하루를 변화시키는 딜라이트룸이 궁금하다면 블로그를 방문해 보세요.

글이 마음에 드셨나요?
공유하기
페이스북링크드인트위터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체험해 보세요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체험하기
  • 외부 투자금 없이 연 매출 100억 원을 달성한 기업이 있다?

    #3월의 로켓 성장 기업 소개.zip #성장은_flex

  • 2022. 3. 23
    [flex webinar] 성장 곡선을 180도 바꾸는 보상 설계

    잘 만든 보상 하나가 구성원 리텐션을 좌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