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 webinar] 조직 스케일업을 위한 필수 HR 제도, 유연근무제 셋업 노하우

세션
페이스북링크드인트위터
💡 웨비나에서 이런 내용을 다뤄요
📌 조직 스케일업에 유연근무제가 필요한 이유와 사례를 알려드려요
📌 유연근무제 도입을 위한 법적 절차와 운영 가이드를 정리해드려요
📌 flex로 유연근무제 도입 및 운영 방법과 실제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인재 확보, 생산성, 조직문화
3가지를 개선하는 열쇠는?

기업이 성장하면서 부딪히는 조직 문제, 가장 빠르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어디에서 시작할 수 있을까요? 이번 웨비나는 기업이 기존의 조직 운영 체계로 견디기 힘들 정도의 성장을 이뤘을 때, 한 단계 더 높은 성장을 위해 필요한 HR 전략인 근무 제도에 대해 다룹니다. 인재 확보, 업무 생산성, 조직 문화라는 3가지 HR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파악하고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해법을 ‘유연근무제’로 준비해보세요.

웨비나 신청 마감
⚠️ 성장을 가로막는 고정 근무 제도의 한계
✅ 인재 확보: 통근 거리나 원격/육아를 위한 근무 형태 부재 → 채용 후보 풀 선택지가 좁아짐
✅ 업무 효율: 다양한 직군/업무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근무 형태 → 업무 생산성 저하
✅ 인력 이탈: 연차가 높은 숙련 인재의 일-생활 불균형 → 잦은 이탈과 팀 역량 저하
✅ 조직 문화: 자율과 다양성을 보장하지 않는 이미지 → 구성원 동기 저하 이슈

유연근무제 도입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 잠깐 질문! ‘유연근무제’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재택이나 원격으로 일하면 눈에 안 보이는데 오히려 업무 능률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구성원 신뢰도 문제지만, 근태를 관리할 방법도 막막한데 제대로 돌아갈까요?”

유연근무제의 핵심은 오히려 반대입니다. 개인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고정된 근무 장소와 시간에서 벗어나 생산성을 높이는 근무 형태를 찾아가는 것이죠. 무조건 재택이나 원격 근무를 시행하는 것이 아닌, 우리 회사의 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업무를 더 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근무 환경을 리빌딩하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협업 메신저 서비스 슬랙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근무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구성원은 그렇지 못한 구성원과 비교했을 때 생산성은 39%, 업무 몰입도는 64% 더 높다고 합니다. 또한, 유연한 근무 환경에서 일한 구성원은 57% 더 높은 확률로 기업 문화가 개선되었음을 경험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결과는 물리적, 시간적인 유연 근무가 실제로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팀과 조직에 더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유연근무제는 정확히 조직의 성장통을 어떻게 해결할까요? 이번 웨비나에서 우리 회사에 맞는 유연근무제 유형과 운영 가이드, 도입 프로세스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조직의 성장이 한 단계 레벨업할 수 있는 변화를 HR에서 먼저 시도할 수 있도록 도와 드릴게요.

웨비나 신청 마감

웨비나 신청 혜택

  • 유연근무제 All-in one 가이드북(발표 자료)

처음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조직을 위한 근무 제도 셋업과 운영 사항 전반을 담은 가이드북을 제공해 드립니다. 법적 검토 절차, 근무 유형 안내, 운영 시 주의할 점까지 HR 담당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ebinar 진행 순서

Part 1. 유연근무제가 가져오는 변화들

  • 유연근무제가 무엇인가요?
  • 유연근무제 도입의 장점
  • 유연근무제 성공 사례
  • 우리 회사에 맞는 유연근무제는?
  • 유연근무제 도입 시 검토 사항

Part 2. 유연근무제 성공 사례/운영 방법

  • 유연근무제 도입, 왜 어려울까?
  • flex로 쉬워지는 유연근무제 운영 (제품 시연)
    • 근무 유형 설정
    • 법에 맞는 근태 관리
  • flex 유연근무제 도입 사례
  • 정부 지원 사업 안내

Part 3. Q&A 세션

글이 마음에 드셨나요?
공유하기
페이스북링크드인트위터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체험해 보세요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체험하기
  • 2024. 8. 5
    플렉스 주최 직장 동호회 테니스 리그, 최종 우승팀은?

    네이버 vs. 삼성바이오로직스 vs. 서울소방재난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