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 왜 리더인가] 50조 기업을 만든 의사결정은 철저히 이타적이었다.

💡 북리뷰에서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조직 전체의 마음을 움직이는 리더십 비결 : 이타심
✅ 세상을 위한 이타심 = 미션(Mission)
✅ 조직을 위한 이타심 = 직원 경험
✅ 고객을 위한 이타심 = 고객 경험
따라하면 성공하는 리더십 기술 따윈 없다
‘성공 법칙’, ‘팀장의 스킬’ 같은 네이밍의 콘텐츠가 쏟아지는 시대입니다. 물만 끓이면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처럼 바로 따라하면 성공할 것 같은 키워드가 서점과 인터넷을 휩쓸고 있죠. 리더십도 마찬가지입니다. 위임하는 법, 동기부여, 피드백,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스킬셋이 있고 하나씩 장착하면 누구나 실리콘밸리의 팀장이 될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물론 위와 같은 역량을 갖춰도 성과내는 리더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팀을 리딩할 때 필요한 스킬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리더십 능력만 뛰어난 리더는 ‘일 잘하는 리더’가 되는 것에 그칩니다. 성공을 거두더라도 지속성이 짧거나, 성공의 규모를 조직과 비즈니스 전체로 확산시키지 못한 채 사라질 확률이 높습니다.
반면 사라지는 리더와 달리, ‘영원히 존재하는 리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인의 능력으로 순간 반짝이는 리더가 아닌, 조직의 거대한 파장을 일으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는 리더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첨단 전자부품 제조업체 교세라의 창업자이자 동양 문화권 출신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CEO, 이나모리 가즈오는 그 결정적 차이로 ‘사람의 마음’을 꼽았습니다.

치열한 경쟁 시대에서 ‘이타심’의 경쟁력은 무엇일까
이나모리 가즈오는 오늘날로 말하면 평사원 경험이 있는 스타트업 대표입니다. 엔지니어 출신으로 27세에 벤처기업 교토 세라믹을 창업해 연 매출 16조원, 종업원 7만 명 규모의 글로벌 B2B 기업으로 성장시켰습니다. 그 뿐만이 아닙니다. NTT(일본전신전화 주식회사)가 독점하는 통신 시장에서 신생 통신업체인 다이니덴덴을 연 매출 50조원의 거대 기업으로 키워냈죠. 77세에는 24조 부채의 일본항공(JAL) 회장에 취임해 2년만에 흑자 전환을 성공시킨, 말도 안 되는 역사를 썼습니다.
위와 같은 불세출의 역사를 일구어낸 경영 사례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조직 전체의 마음을 움직여 만든 성과’라는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은 바뀌기 쉬운 것도 사실이지만, 한 번 강하게 결속이 되면 그 무엇으로도 대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막강한 힘을 발휘한다. 직원들끼리 서로 신뢰하고 이해하면서 마음을 하나로 합쳐 일하는 조직, 모든 구성원이 경영에 참여한다는 열의를 지닌 조직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다짐 말고 내가 구사할 수 있는 경영 기술이나 비법 같은 것도 없었다.
<왜 리더인가>, 171p
물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아이디어, 슈퍼 플레이어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교세라와 다이니덴덴, JAL은 뛰어난 소수의 인재나 자본, 기술로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닙니다. 거대 규모의 조직이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사업이니까요. 이 때 사업의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은 몇 만 명의 직원을 결속시키는 힘, 이타심입니다.
큰 규모의 스테이지로 가는 조직일수록, 주어지는 과제와 프로젝트의 사이즈가 개개인이 잘해서 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럴 때, 리더가 자신의 성공과 욕심에 사로잡히지 않고 이타심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의사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죠. 리더의 이타심은 구성원을 생각하는 이타심, 그리고 고객제일주의를 만드는 이타심으로 파도처럼 퍼져나갑니다.
📌 세상을 위한 이타심 = 미션(Mission)
이나모리 가즈오가 강조 한 첫 번째 이타심은 ‘세상을 위한 이타심’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스타트업이나 1인 기업 등의 창업자 중에는 재산을 모으고 싶다거나 명성을 얻고 싶어 일을 벌인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경영의 엔진’이 경영자의 사리사욕, 공명심, 권력욕에만 머물러 있다면 잠깐 성공하더라도 지속 가능한 발전은 도모할 수 없다.
<왜 리더인가>, 81p

이나모리 가즈오 (출처: 교세라 재단)
여기서 말하는 세상을 위한 이타심을 다른 말로 재정의하면 ‘미션’(Mission)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회사가 세상에 존재할 이유가 무엇인가? 그 이유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사회적 의의’가 분명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비즈니스를 통해 만들고 싶은 임팩트가 사적 이익에 머무른다면 그 마음의 그릇 이상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겠죠. 기업이 풀고자 하는 비즈니스 문제는 세상의 문제와 맞닿아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더 큰 시장과 영향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