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스, 데이터·AI·전문가 접목한 '임금분석 커스텀 리포트'로 답하다

"직무·직급별 우리회사 임금, 적정할까?"
플렉스, 데이터·AI·전문가 접목한 '임금분석 커스텀 리포트'로 답하다
- LLM 기반 NLP 기술로 '표준 직무·직급' 체계 마련
- 기업별 임금현황 진단 및 시장 대비 임금 경쟁력 등 제시
- '방대한 데이터, AI 분석력, HR 전문가' 3요소 접목해 기업 맞춤형 임금 전략 수립·실행 지원
HR 기반 AI 플랫폼 플렉스(flex)가 '임금분석 커스텀 리포트'를 개발, 임금 전략 수립이 필요한 HR 파트너스 고객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임금분석 커스텀 리포트'는 AI와 HR 전문가의 협업 모델이다. HR 플랫폼 플렉스에 축적된 방대한 실제 임금 데이터를 분석, 고객사별 맞춤형 진단을 제시한다. 나아가 플렉스 HR 파트너가 전문성을 더해 리포트의 결과를 최적화한 후, 고객사가 시장 내 자사 임금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합리적 임금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도록 돕는다.
리포트는 크게 '임금 현황'과 '임금 경쟁력' 두 파트로 구성된다. ▲자사 임금 수준, ▲직급별 페이밴드(Pay Band, 임금 상하한선) 분석, ▲직무별 임금 비중, ▲시장 임금 대비 자사 임금정책 방향 진단, ▲직무별 임금 경쟁력(Compa-Ratio) 분석, ▲여기에 개인 성과등급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임금 조정 가이드 등을 포함한다.
플렉스는 임금 분석의 토대 마련을 위해 대한민국 산업 및 직무·직급별 특성을 반영한 '표준 직무·직급 체계'를 고안했다. 조직마다 비정형적인 직무, 직급 등의 표준화에 AI 기술, 특히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을 활용했다.
데이터 보안 및 정보 보호를 위해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가명화 처리를 선행, 개인 식별 가능성을 차단하고 데이터 접근 권한을 분리한 환경에서 분석을 실시했다.
직무는 3단계(대분류-소분류-표준 직무)로 표준화했으며, 직급은 단순 연차가 아닌 실제 역할과 책임에 따라 5단계의 표준직급(L1~L5)으로 정 의했다. 기업은 제각각의 체계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사와 시장의 임금 수준을 표준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플렉스는 동일임금 동일노동 법제화, 임금분포제·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 등 현 정부 국정기조에 따라 공정하고 합리적인 임금체계 정비 중요성이 대두된 만큼, 해당 분석이 기업의 임금 전략뿐 아니라 컴플라이언스 강화에도 실효적으로 기여하리라는 관측이다.

플렉스 관계자는 "인재는 조직의 가장 귀중한 자산임에도 불구, 인재 확보와 유지에 필요한 임금은 대다수 재화·서비스와 달리 실시간 가치와 그 변동을 알 수 없는 미지의 영역으로만 존재했다"며, "이번 리포트는 '직감과 관행'을 넘어 '객관적 데이터와 전문가의 통찰'에 입각한 임금 전략의 실질적 도구가 될 것"이라 말했다.
한편, 플렉스의 'HR 파트너스'는 HR 전문가 그 룹이 고객사의 근본적 HR 문제를 맞춤형으로 해결하는 구독 서비스다. HR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고객사와 한 팀이 되어 진단, 제안, 실행, 관리 및 최적화 등 HR 문제 해결을 전방위적으로 함께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