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관리 열심히 해도 실패하는 이유 7가지

공공의 적이 된 KPI에게 죄는 없다
매년 혹은 반기마다 많은 기업이 새로운 KPI와 함께 새해(혹은 새 분기) 전략을 세웁니다. 사실 KPI 설정은 이전 콘텐츠에서 다뤘듯이 세심하고 전략적으로 진행돼야 하는 작업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죠. 무심코 KPI를 잡았다가 팀 방향성이나 조직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잘못된 KPI 설정은 왜 생길까요?
대부분 다음 두 가지 이유가 크게 작용합니다.
- 욕심이 과해 현재 상황과 동떨어진 비현실적 목표치
- 조직 목표와 전혀 무관한 KPI를 설정해버린 경우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KPI 실패 원인 7가지와 어떻게 하면 이를 피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각 항목을 체크해 보며 우리 회사의 KPI가 혹시 문제없는지 꼭 점검해 보세요.
KPI 실패 이유 7가지
1) 너무 많은 KPI
혹시 전사 혹은 팀별 KPI가 5개 이상인가요? 그렇다면 지금 당장 줄이는 게 좋습니다.
KPI가 과도하게 설 정되면, 구성원은 “무엇을 먼저 해야 하지?”라며 우선순위를 놓치게 됩니다. 정말 중요한 지표들이 묻히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지표에 불필요하게 신경 쓰게 되죠. 그러면 전체 성과도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해결법:
- 핵심 KPI 3~5개 이내로 최소화하고, 나머지는 보조 지표로 분류
- 팀별·개인별로 KPI를 추가하더라도, 반드시 조직 최우선 과제와 연결시키기
예시:
- 영업팀: “신규 고객 유치(월 5건), 기존 고객 재계약률(80% 이상)”
- 마케팅팀: “리드 전환율(5%), 고객 획득 비용(CAC) 5만 원 이하”
- 이외의 지표(예: SNS 팔로워 수, 광고 클릭률 등)는 참고 지표로만 관리
2) KPI 간 인과관계가 불투명
KPI가 서로 따로 노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 2배 증대’라는 목표와 ‘인스타그램 팔로워 10만 명 달성’ 같은 지표를 각각 설정해 놓았는데, 이 둘의 연결 경로가 명확하지 않다면 아무리 팔로워가 늘어도 실제 매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죠. 이는 드라이버(Driver) 지표와 결과(Result) 지표를 헷갈려 설정하거나, 두 지표 사이에 논리 구조가 전혀 잡혀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표면적으로 목표가 달성됐다 해도 궁극적 성과와는 동떨어진 결과를 낳게 됩니다.
해결법:
- 드라이버(Driver) 지표와 결과(Result) 지표를 구분해 설정
- 두 지표가 로직 트리나 피라미드 형태로 어떻게 이어지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