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작성 예시: 직무별 핵심 성과 지표 작성 가이드

아티클
페이스북링크드인트위터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조직과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하지만 많은 회사에서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조건 수치만 강조하거나 조직 목표와 상관없는 지표를 잡아 구성원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하죠.

사실 잘 설정된 KPI는 조직 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구성원이 한 방향으로 몰입하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 KPI의 필요성과 작성 방법, 그리고 KPI 작성 예시 (직무별)를 공유해 보겠습니다.

왜 KPI가 필요할까?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정의

KPI는 조직의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목표(Goal) 자체가 아니라 성과를 추적하는 지표(Indicator) 입니다. 즉, 조직, 팀, 개인이 달성해야 할 핵심 목표를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기준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업팀이라면 ‘이번 분기 신규 계약 50건 확보’, 마케팅팀이라면 ‘홈페이지 평균 유입 20% 증가’와 같은 KPI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부서가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성과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KPI가 필요한 이유

KPI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열심히 노를 젓고 있어도 목표 지점이 어딘지 몰라 엉뚱한 곳으로 갈 수 있습니다. 잘 설정된 KPI는 ‘지금 우리가 어느 정도 왔는지’, ‘무엇이 부족한지’를 객관적으로 알려주고 구성원의 동기를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합니다.

정리하자면 제대로 설정된 KPI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 방향성 확보: 회사·팀·개인이 한 방향으로 달릴 수 있어요.
  • 동기 부여: 수치로 명확해진 목표는 업무 몰입도를 높입니다.
  • 성과 관리: 객관적 지표가 있으니 달성 여부를 쉽게 파악·피드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도 가능해집니다.

💡 OKR vs KPI

많은 조직에서 OKR과 KPI를 혼용해 사용하지만, 두 개념은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도전적인 목표(Objectives)와 그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하는 핵심 결과(Key Results)에 초점을 맞춥니다.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현재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목표 달성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추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OKR은 도전의 목표와 그 결과에 초점을 두고 KPI는 현재 성과와 측정을 보다 명확히 하는 쪽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KPI 작성 방법

(1) SMART 원칙 적용

먼저 효과적인 KPI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SMART 원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Specific (구체적):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합니다.
  • Measurable (측정 가능): 수치나 데이터 기반으로 성과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Achievable (달성 가능): 너무 무리한 목표는 동기를 떨어뜨립니다.
  • Relevant (관련성): 회사나 팀의 전략·목표와 직접 관련되어야 합니다.
  • Time-bound (시간 제한): 언제까지 달성해야 할지 기한 설정이 중요합니다.

(2) 핵심 업무(Key Task)·CSF 파악

  • 핵심 업무(Key Task)와 핵심성공요인(CSF)을 분석해, 실제 조직 성과와 직결되는 지표를 뽑아냅니다.
  • 정량적 + 정성적 + 준정량적 지표를 적절히 조합하여 KPI를 설정합니다.

(3) KPI 도출 방법 3단계

다음 3단계로 KPI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비즈니스 목표 확인

  • 조직의 전략·비전, 각 부서가 올해 달성해야 할 구체적 목표 파악

2단계: 핵심 성과 영역 식별

  •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주요 활동·프로세스 정리
  • 예: 영업 = 재계약율

3단계: KPI 선정 및 구체화

  • 가장 중요하고 측정 가능한 지표만 추려 SMART하게 구체화
  • 측정 방법·주기·목표치를 명확히 기재

KPI 작성 가이드

1. 너무 많지 않게, ‘핵심’에 집중

KPI는 3~5개 정도가 적당합니다. 핵심 목적에 직결되는 지표만 남기고, 나머지는 보조 지표로 분류하세요.

2. 정성+정량, 같이 가져가기

영업처럼 수치가 분명한 직무도 있지만 디자인, HR, 브랜딩 등은 정성적 지표(만족도, 인지도, 가이드 준수)도 중요해요. 질적 요소를 무시하면 효과적인 KPI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3. 상위 목표와 연계

회사 전체 목표 → 팀 목표 → 개인 KPI 순으로 연결 고리가 없으면 KPI가 의미를 잃습니다.

4. 정기 점검 & 피드백

월간 또는 분기별로 달성 현황을 확인하고, KPI 설정이 현실과 괴리되지 않는지 점검하세요. 결과가 기대와 크게 다르다면 KPI 자체를 다시 설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현장 의견을 꾸준히 수렴해 실질적인 목표로 조정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팀 KPI & 개인 KPI 작성 시 주의사항

팀 KPI 작성 시 주의사항

팀 KPI를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핵심 지표에 집중하세요. 너무 많은 KPI를 설정하기보다는 3~5개의 핵심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세요. 각 KPI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 분명하게 지정해야 합니다.
  3. 수치만 강조하지 마세요. 정량적 목표뿐만 아니라 협업, 조직 문화 기여 등의 질적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4.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세요. 실무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현실적인 KPI를 설정해야 합니다.
  5. 조직 목표와 일치해야 합니다. 회사의 미션과 비전에서 벗어난 KPI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개인 KPI 작성 시 주의사항

개인 KPI를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직무와의 연관성을 확보하세요. KPI는 자신의 역할과 목표에 부합해야 합니다.
  2. 단순한 수치 성과뿐만 아니라 역량과 학습 요소도 반영하세요.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지표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팀 리더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조정하세요. 피드백을 바탕으로 KPI를 개선하며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직무별 KPI 작성 예시

KPI를 작성할 때 흔히 정량적 목표(숫자로 측정 가능한 성과)에 집중하지만, 정성적 지표(질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더 완성도 높은 평가 기준이 됩니다.

(1) 수치화 쉬운 직무: 영업·마케팅 등

영업 KPI 작성 예시

영업팀은 매출이라는 명확한 목표가 있으므로 매출 성과와 고객 관리 측면에서 KPI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규 계약 건수: 월 5건
  • 매출 달성률: 분기별 목표 2억 원
  • 재계약률: 80% 유지
  • 영업 기회 전환율: 리드에서 실제 구매 고객으로의 전환 30% 이상

마케팅 KPI 작성 예시

마케팅팀은 고객 유입, 리드 확보, 전환율, 브랜드 인지도 등을 KPI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리드(Lead) 생성 수: 월 500건
  • 전환율(CVR): 5% 유지
  • 뉴스레터 구독자: 20% 증가
  • CAC(고객 획득 비용): 신규 리드 1건당 5만 원 이하

(2) 수치화 어려운 직무: 디자인·CS·인사 등

디자인·브랜딩 KPI 작성 예시

디자인팀이나 브랜딩팀은 성과를 수치화하기 어려운 직무지만 프로젝트 기한 준수율, 가이드라인 이탈률, 고객 참여도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납기 준수율: 90% 이상
  • 브랜드 인지도: 10% 상승(설문 or 외부 기관 조사)
  • 디자인 가이드라인 이탈: 0건
  • 사용자 체류 시간 증가율: 이전 대비 15% 증가

CS(Customer Service) KPI 작성 예시

CS팀은 직접적인 매출보다는 고객 만족과 재구매율에 영향을 주는 부서이므로, 고객 경험과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KPI를 설정해야 합니다.

  • 초기 문의 해결율: 70% 이상
  • 고객 만족도(NPS): +30점 이상
  • 평균 응답 시간: 1시간 이내 90%

인사(HR) KPI 작성 예시

인사(HR)팀은 채용 효율과 조직 경쟁력과 직결된 팀이므로 이에 맞는 KPI를 설정해야 합니다.

  • 채용 소요 기간: 평균 45일 이하
  • 입사 1년 내 이직율: 30% 이하
  • 사내 교육 참여율: 80%
  • 직원 만족도: 85% 이상 유지

👉 더 자세한 HR팀 KPI 셋업 단계가 궁금하다면?

(3) 통합 조직(목적 중심 조직)

예: 제품 팀 (개발 + 디자인 + 마케팅 융합형) 작성 예시

제품 팀처럼 목적을 위해 개발, 마케팅, 디자인 등 다양한 직무가 융합된 조직에서는 제품 출시 기한 준수, 기능 개발, 사용자 경험, 협업 과정이 핵심 성과 지표가 됩니다.

  • 기능 업데이트 주기: 분기 1회 이상
  • 제품 오류율(Bug Rate): 3% 이하
  • 사용자 만족도: 70점 이상
  • 프로젝트 협업도: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지연 0건
  • 데드라인 준수율: 80% 이상

명확한 KPI가 없으면 열심히 달려도 방향을 잃고 방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치 목표를 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KPI가 진정한 성과 지표로 자리 잡으려면

왜 이 지표가 왜 필요한지, 정량적·정성적 요소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 조직의 큰 목표와 어느 정도 맞물려 있는지

이런 질문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합니다. KPI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조직의 목표 달성과 구성원의 성장을 함께 이끄는 기준이 되길 바랍니다.

목표 관리 분야 조회 수 TOP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 우리 회사 OKR이 몇 년 째 실패하는 이유
📍 OKR vs KPI : 우리 회사엔 뭐가 맞을까?
📍 OKR vs KPI : 함께 활용하면 성과가 극대화 되는 이유
📍 목표 관리 Tip : 계단식 OKR의 함정을 피해라
📍 팀 역량을 3배 높이는 OKR 회고 방법 3가지


우리 회사와 부서별 목표가 얼라인 되어있지 않으신가요? 조직의 역량을 한 방향으로 모을 수 있는 목표 셋업과 관리가 필요하다면 구독형 HR 전문가 솔루션, HR Partners를 만나보세요.

HRBP, HRM, HRD, 조직문화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업을 경험한 전문가 그룹이 기업의 HR 조직이 되어 드립니다. 조직의 현황과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계획하고, 솔루션을 실제로 수행하는 모든 과정을 지원합니다.

지금 아래 소개서를 통해 HR Partners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 HR Partners 소개서 받아보기
글이 마음에 드셨나요?
공유하기
페이스북링크드인트위터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체험해 보세요
flex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체험하기
  • [flex updatenote] 비용 관리·근태·정산 기능 업데이트
    2월 넷째 주 flex 신규 기능 및 경험 개선 사항에 대한 안내에요.